고민 질문드립니다
불과 2주정도 전에 영상ai로 만드는거 찾아보다가
Replit을 알게 되었고 과연 될까 싶어 해봤는데 신세계? 경험하고 replit으로 만들고 싶은 커뮤니티 기능 있는 사이트를 만들었습니다 유료 결제한번으로는 모자라서 셀프 레퍼럴 해가면서 아이디를 여러개 만들어가면서 remix해서 결제만 4~5번 정도 해서 완성 했습니다
챗지티에 물어보면서 계속 만들었는데 remix에서 풀스택으로 이용자를 받게되면 서버비용도 비싸고 금액 터져버린다고 해서 ..
백엔드 프론트엔드 s3 클라우드 까지 분리 해야 된다고 해서 ... ㅠ.ㅠ 챗지피티 조언에 따라 어찌어찌 가입하고 분리 해놨는데 다 괜찮았는데 백엔드를 render로 옮기는데 계속 디플로이 실패 ㅠ.ㅠ
그래서 또 구글링 해보니 dockerfile로 해서 하면 오류 줄어든다고 대신 커서 써서 해야 된다고 해서 커서 가입후 엄청난 디버깅? 끝에 디플로이 성공해서 어째든 돌아가는 상황까지 만들었는데
리플릿이랑 렌더 환경이 달라서 그런지 잘작동 안하는 .. 로그인이라던지 어드민페이지 접속이라던지 에러가 나서 커서에서 수정해서 올리려고 할려하니까 ㅋㅋㅋ render 디플로이 할때 마다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네요 수정할껀 산더미인데 ㅎㅎ
그래서 테스트용으로 로컬 서버 구성 하루종일 했는데 제대로 연결이 안되네요 또 시간을 엄청난 시간을 쓰면 로컬환경에서도 돌아가게 할수도 있겠지만 이제 진짜 지치네요 ㅎㅎㅎ
그래서 유튜브 검색중에 여길 보게 되면서 또 생각이 많아지네요
현재 상황 replit에서 풀스택으로 개발 -> 프론트엔드 vercel ,백엔드 render ,이미지 s3+클라우드페어 ,databae=neon, auth=firebase 분리 후
->커서ai 독파일 만들어서 render에 백엔드 올리는데 성공 ...
하지만 오류 때문에 할때마다 디포로이 시간때문에 너무 답답한 상황 이네요
유튜브 보고 루비 레일 로 갈아타면 그동안 만든게 거의 비슷하게 구현이 될까요? 현재 결과물이 나름 만족 스러운 상황이라 ㅎㅎ
그리고 비용부분이 얼마나 차이가 있을까요 추천해주는 방식이랑 제가 구성해놓은 방식으로 서비스를 돌릴때 규모가 커진다고 가정했을때 궁금하네요
풀스택으로 가면 너무 좋긴한데 혹시 리플릿에서 분리 할때 처럼 루비도 분리해야 된다면 너무 힘든 작업이 되지 않을까요?
클루드코드도 추천많이하시던데 저도 가능할까요? 리눅스 우분투 까지 깔아보다가 그냥커서 쓰자 하고 접었습니다 ㅎㅎ
코딩에 코자도 모르다가 어째 1~2주 동안 엄청 삽질해보고 있는 느낌이네요 근데 재미있습니다 앞으로도 계속하고 싶을 만큼이요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